우분투에서 디스크 자동 마운트
디스크를 연결해놔도 서버를 재가동할 상황이 있을 때 마운트가 풀려버려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니다.
디스크 확인
lsblk
해당 명령어는 하단과 같은 결과를 보여준다.
NAME MAJ: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
loop0 7:0 0 104.2M 1 loop /snap/core/17200
loop1 7:1 0 161M 1 loop /snap/microk8s/6876
loop2 7:2 0 64M 1 loop /snap/core20/2318
loop3 7:3 0 38.8M 1 loop /snap/snapd/21759
sda 8:0 0 7.3T 0 disk
nvme0n1 259:0 0 238.5G 0 disk
├─nvme0n1p1 259:1 0 1.1G 0 part /boot/efi
├─nvme0n1p2 259:2 0 2G 0 part /boot
└─nvme0n1p3 259:3 0 235.4G 0 part
└─ubuntu--vg-storage 253:0 0 235.4G 0 lvm /
여기서 7.3TB짜리 disk를 연결해줄 예정이다.
sudo mount /dev/sda /storage
name이 sda이기 때문에, /dev/sda로 맵핑되어있는 저장공간을 특정 폴더에 마운트한다.
재부팅 시에도 설정 유지하기
이대로만 놔두면 재부팅 시 마운트가 풀려버리기 때문에, fstab을 사용하자. 꽤나 전통적인 툴로, 안정성은 문제 없으나 잘못 적을 시 부팅에서부터 문제가 생길 수 있다. 조심해서 사용해야 한다.
명령어
/dev/sda /storage xfs defaults 0 2
위의 명령어는 본인의 현재 디스크에 해당하며 각자 상황에 맞게 변경하면 되겠다.
나머지 옵션은 생략하고 파일 시스템만 알면 되는데,
sudo blkid
명령을 통해서 마운트된 정보들과 uuid, 파일 시스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.
/dev/nvme0n1p1: UUID="3FBD-EADF" TYPE="vfat" PARTUUID="ff42dfc2-1902-44ae-be0a-24af2e49965c"
/dev/nvme0n1p2: UUID="5fc37258-6e91-4ea5-b982-d03fe8d3c351" TYPE="ext4" PARTUUID="c1ec8dc8-1de0-47cb-8256-409f3f5c8d91"
/dev/nvme0n1p3: UUID="VBnT48-gCNU-URbF-7WUy-QNdG-Nhjl-w75vzG" TYPE="LVM2_member" PARTUUID="53fb4ebe-1813-4ce0-a123-44c3e21de5fc"
/dev/mapper/ubuntu--vg-storage: UUID="85cdd980-8520-4bc5-a2c2-1f686eaf08dc" TYPE="ext4"
/dev/sda: UUID="4011d8a0-2c58-4bfb-992d-417987d644da" TYPE="xfs"
/dev/loop0: TYPE="squashfs"
/dev/loop1: TYPE="squashfs"
/dev/loop2: TYPE="squashfs"
/dev/loop3: TYPE="squashfs"
부팅 시 잘 마운트 되는지 리부팅으로 확인해보자.